[김경수 기자] <br />지방선거가 이른바 대권의 길목으로 여겨지는 이유. <br /> <br />행정 경험과 정치력을 인정받은 광역단체장들이 대권 주자로 발돋움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죠. <br /> <br />지방자치제 부활 이후 치러진 7차례 지방선거와 재보궐 선거를 통해 민심의 선택을 받은 광역단체장은 모두 76명입니다. <br /> <br />이 가운데 30명이 대선 출마를 시사하거나 선언한 적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10명 중 4명꼴로 대통령의 꿈을 드러낸 겁니다. <br /> <br />지역에 따라 좀 나눠보면, <br /> <br />수도권 광역 단체장은 16명 가운데 11명이, <br /> <br />비수도권 단체장은 60명 중 19명이 대권 도전을 시사하거나 출마를 언급했습니다. <br /> <br />수도권 광역단체장은 70% 가까운 사람들이 대권을 꿈꿨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. <br /> <br />광역단체장이 대권 길목으로 인식되기 시작한 건 지난 2007년 대선 무렵인데요, <br /> <br />이때부터 광역단체장의 대선 출마가 눈에 띄게 증가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대권을 꿈꾸는 광역단체장들이 늘어나게 된 배경은 뭘까요? <br /> <br />우선 YS와 DJ로 대표되는 거물급 정치인의 시대가 막을 내렸다는 점을 꼽을 수 있고, <br /> <br />비주류로 분류되던 노무현 대통령의 당선 역시 '대통령직' 도전의 문턱을 낮춘 하나의 요인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당시 민선 3기 이명박 서울시장의 급부상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습니다. <br /> <br />그렇다면 지방정치를 통해 대권의 꿈을 키운 인물들, 누가 있었는지, 김지선 기자가 전해드립니다. <br /> <br />[김지선 기자] <br />네, 지금 보고 계시는 이 사진은 역대 광역단체장 가운데 대선 출마 가능성을 한 번이라도 입에 올렸던 인물들입니다. <br /> <br />모두 30명인데요, <br /> <br />공식 출마선언을 한 인물 외에도 대권 도전 가능성을 우회적으로 시사한 사람도 포함되어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 중에 대선을 앞두고 "이번 대선에 도전하겠다." 하고 공식적으로 출마 선언한 사람, 몇 명일까요? <br /> <br />24명입니다. <br /> <br />이들이 당내 경선 레이스를 비롯한 본격적인 선거 과정에 뛰어드는데요, 7명은 중도에 포기하거나 다른 후보와 단일화하죠. <br /> <br />이렇게 남은 17명이 경선을 완주하지만, 상당수가 탈락합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본선 진출은 5명뿐입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서 마지막까지 사퇴하지 않고, 선거 당일 국민의 선택을 기다린 사람, 이렇게 4명입니다. <br /> <br />여기까지 올 확률은 5%입니다. <br /> <br />이것만도 쉽지는 않죠. <br /> <br />이 중에 청와대 문턱을 넘은 사람, 단 1명뿐입니다. <br /> <br />확률로 따지면 1%네요. <br /> <br />지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지선 (sunkim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20531043104373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